- 이 문서는 구루비에서 작성하였습니다.
- 이 문서를 다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게재하실 경우에는 출처를 꼭 밝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.~^^
- 출처 : http://wiki.gurubee.net/display/CORE/2.1+GRD?
- 구루비 지식창고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(BY-NC-SA)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GRD의 개념
- GRD는 Global Resource Diectory의 약자로, RAC에서 글로벌 자원을 관리한ㄴ 데이터베이스를 가리키는 용어이다.
- RAC에서 공유되는 모든 자원은 GRD를 통해서 관리된다.
- 글로벌 자원의 최시 정보가 전체 클러스터 중 특정 하나의 인스턴스에 속한 GRD에서 관리된다.
- 리소스 마스터
- 특정 리소스의 마스터를 지칭한다.
- GRD가 위치한 노드를 리소스 마스터라고 부른다.
- GRD가 관리하는 리소스는 일반적으로 버퍼(블록)로 언급되지만, 넓으 의미에서는 LCO(Library Cache Object), RCO(Raw Cache Object) 드을 포함한 모든 글로벌 리소스로 이해해도 무방한다.
- 리소스홀더 : 특정 리소스의 최종버전을 가지고 있는 노드(인스터스)를 말한다.
- PCM락 : Parallel Cache Management락의 약어. 버퍼를 글로벌하게 보호하는 락을 말한다. PCM락은 BL(Block) 락으로도 불린다.
- Non PCM락 : Non Parallel Cache Management 락의 약어. 버퍼 외의 자원, 즉 트랜잭션, 테이블, 라이브러리 캐시 객체, 로우 캐시 객체 등의 자원을 글로벌하게 보호하는 락을 말한다.
문서정보
- 이 문서는 구루비에서 작성하였습니다.
- 이 문서를 다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게재하실 경우에는 출처를 꼭 밝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.~^^
- 출처 : http://wiki.gurubee.net/display/CORE/2.1+GRD?
- 구루비 지식창고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(BY-NC-SA)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