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이 문서는 구루비에서 작성하였습니다.
- 이 문서를 다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게재하실 경우에는 출처를 꼭 밝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.~^^
- 출처 : http://wiki.gurubee.net/display/CORE/23.+SNAPSHOT+STANDBY?
- 구루비 지식창고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(BY-NC-SA)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XXIII. Snapshot Standby
Snapshot Standby : 물리적 스탠바이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생성되는 새로운 유형의 스탠바이 데이터베이스
- 읽기-쓰기가 지원되어 테스트와 다른용도를 위해 Primary Database와 독립적인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음
- physical standby database가 snapshot standby database로 변환된 것에 의해 생성된 모든 업데이트가 가능한 standby database이다.
- snapshot standby database는 primary database에서 redo data를 받고 archive 하지만 apply는 하지 않음
- snapshot standby database에서 발생된 모든 local update를 버림 -> snapshot standby database는 physical standby database로 전환 -> primary database에서 받은 redo data가 적용
- snapshot standby database는 EM에서나 Data Guard Broker command line 인 DGMGRL 그리고 SQL*Plus를 통해서 생성 가능
결 론
SNAPSHOT STANDBY 로 전환하면 읽기/쓰기 가 가능한 테스트를 작업을 수행하면서 Primary 의 Redo는
지속적으로 보관하고 있기에 테스트로 인한 데이터 변경이후 라도 언제든지 원래의 Primary Database 로 동기화를지원하기 때문에 DR 본연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.
문서정보
- 이 문서는 구루비에서 작성하였습니다.
- 이 문서를 다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게재하실 경우에는 출처를 꼭 밝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.~^^
- 출처 : http://wiki.gurubee.net/display/CORE/23.+SNAPSHOT+STANDBY?
- 구루비 지식창고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(BY-NC-SA)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