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이 문서는 구루비에서 작성하였습니다.
- 이 문서를 다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게재하실 경우에는 출처를 꼭 밝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.~^^
- 출처 : http://wiki.gurubee.net/display/DBSTUDY/V%24SYSTEM_EVENT?
- 구루비 지식창고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(BY-NC-SA)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Introduction
- 오라클은 서버프로세스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들이 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대기현상을 예측하려고,갖가지 대기 이벤트를 정의
- 이 횟수와 대기시간을 내부에 저장
- v$system_event는 인스턴스 기동 후 현재까지 누적된 이벤트 발생현황을 시스템 레벨로 확인하고자 할때 사용함
- 대기 이벤트는 v$system_event, v$session_event, v$session_wait 뷰를 통해 확인 가능
- 트레이스를 걸지 않더라도 v$seesion_wait을 조회하여 현재 어떤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는지 곧바로 확인 가능함
WAIT_TIME > 0 | 마지막 대기이벤트를 대기한 시간 |
WAIT_TIME = 0 | 이 이벤트를 현재 대기 중 |
WAIT_TIME = -1 | 마지막 대기 이벤트를 대기한 시간이 10ms 미만 |
WAIT_TIME = -2 | 타이밍이 활성화되지 않음 |
참조문서
서적(오라클 성능 고도화 원리와해법 I) : http://book.daum.net/detail/book.do?bookid=KOR9788996246015
문서정보
- 이 문서는 구루비에서 작성하였습니다.
- 이 문서를 다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게재하실 경우에는 출처를 꼭 밝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.~^^
- 출처 : http://wiki.gurubee.net/display/DBSTUDY/V%24SYSTEM_EVENT?
- 구루비 지식창고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(BY-NC-SA)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