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이 문서는 구루비에서 작성하였습니다.
- 이 문서를 다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게재하실 경우에는 출처를 꼭 밝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.~^^
- 출처 : http://wiki.gurubee.net/pages/viewpage.action?pageId=2458051&
- 구루비 지식창고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(BY-NC-SA)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4. IN을 고려한 결합 인덱스의 선정
4.1 엑세스 유형의 파악
1 엑세스 유형 파악 : 어떤 테이블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SQL을 수집하여 인덱스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추출하는 것이다.
2 줄기와 가지의 선별 : SQL에서 사용된 많은 조건중에서 옵티마이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가려낼 줄 알아야 한다.
3 우리의 목적은 최소의 인덱스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 것이다.
4.2 인덱스 선정시의 IN 조건 활용
1. 어떤 테이블에 대한 엑세스 유형 조사
- A=,B LIKE,C=,D IN
- A=,B=,D LIKE
- A=,B LIKE,C BETWEEN
- A=,B BETWEEN,D=
2. 이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인덱스를 만든다면 너무 많은 인덱스를 생성해야 할 것이다. 그러므로 줄기에 해당하는 칼럼 A와 B를 가지고 결합인덱스를 만들었을 때
1) B의 분포도가 좋을 때:더 이상 고민은 없다.
2) B의 분포도가 나쁠 때: B의 범위를 상수값의 IN이나 서브쿼리의 IN으로 대체한다.
문서에 대하여
- 최초작성자 : [김강환]
- 최초작성일 : 2009년 06월 12일
- 이 문서의 내용은 이화식님의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솔루션2 을 참고했습니다.
문서정보
- 이 문서는 구루비에서 작성하였습니다.
- 이 문서를 다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게재하실 경우에는 출처를 꼭 밝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.~^^
- 출처 : http://wiki.gurubee.net/pages/viewpage.action?pageId=2458051&
- 구루비 지식창고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(BY-NC-SA)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